 |
|
|
2020 - 서울교육대학교 합격수기 - 광진본원점 |
 |
|
|
Posted at 2020-03-06 11:16:14
|

1. 학생간 대화금지 같은 원칙이 수능때까지 잘 지켜져서 외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적습니다. 분위기를 저해하는 친구들은 상황이 지속되면 말만 하는것이 아니라 실제로 원칙대로 처리하셔서 면학분위기가 유지됩니다.
2. 원장선생님의 학생케어가 공부에서부터 생활, 식사까지 모든 부분에서 이루어지기에 부담없이 공부만 할 수 있습니다.
3. 월 1회정도 원장선생님과 학습계획을 상담하는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독재학원을 독서실정도로 생각하고 운영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알고 있는데 PK독학재수학원은 원장선생님이 그 누구보다 학습에 있어서 최신 트렌드에 민감하셔서 상담의 질이 확연히 다릅니다.
4. 질문선생님들이 과목별로 다양하게 포진하시고 실력있는 선생님들만 있으셔서 인강과 현실공부의 간극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5. 매주 모의고사를 시행해서 실전감각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재수를 하는 학생중에는 어느 정도 기초가 갖춰진 상태에서 시작하는 학생들도 있는데 모의고사 일정이 1월부터 시작해서 필요한 학생은 응시가 가능합니다.
6. 20대 후반에 공부를 시작했는데 늦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크게 부담없이 학원을 다닌 것 같습니다. 혼자하기엔 의지가 부족하고 학원을 가기엔 나이가 너무 많아서 고민이었는데 운이 좋게도 저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 가능한 학원에 다녀서 무난하게 수험생활을 했습니다.
1.국어 매일 꾸준히 열심히 공부했지만 시험장에 들어가는 순간까지 확신이 없던 과목입니다. 1점차이로 조금은 아쉬운 점수를 받았지만 그래도 많은 점수 향상을 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국어 공부법은 처음에 기출로 학습을 진행을 하고 그 이후에는 사설 모의고사를 많이 풀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목의 특성상 다른 과목들 처럼 개념학습과 실전연습이 별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문법정도만 개념 학습을 해주고 그 이후에는 기출도 실전연습처럼 시간을 재고 풀이하고 피드백을 하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수학 수능에서 가장 못본 과목이여서 공부법을 소개하기에는 도움이 전혀 안 될 것이라 생각해서 시험이 끝나고 돌이켜 봤을때 후회하는 점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우선 문제를 가려서 풀었습니다. 문제의 수준을 따져가면서 점수가 안나오는 모의고사는 반성하거나 피드백을 하기는 커녕 퀄리티가 안좋다는 식의 위안을 삼으며 넘어갔습니다. 다음으로는 점수가 나오기 시작할 때 공부량을 줄였습니다. 9평 이후에 성적이 잘 나오기 시작해서 약간 방심을 하고 다른과목에 시간을 더 투자하다보니 매주 보는 모의고사에서 성적이 떨어지면서도 수능은 잘볼거라고 생각하면서 애써 현재의 상황을 무시해왔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기출학습을 개념을 토대로 분석하기보다는 풀이법을 익히기에 급급했습니다. 풀이법만 익히는 공부로는 기출, 기출변형은 풀 수 있지만 개념을 묻는 평가원 시험에서는 번번히 무너졌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은 공부법은 아니지만 저의 실패담으로 혹시나 이런 상황이 본인에게 찾아온다면 반면교사로 삼아서 다시한번 현재 상황을 점검해보고 늦기전에 개선을 하신다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3.영어 절대평가에서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는 과목으로 저는 오답노트의 도움을 가장 많이 받은 과목이라 생각합니다. 시간관계상 다른 과목처럼 기출을 여러번 풀 수 있는 과목이 아니기에 5개년 정도 기출을 풀고 오답노트를 만들어서 해석이 안되는 부분을 표시하고 계속 복습했습니다. 또한 EBS도 최소 2회독 정도는 해야 부족한 학습량으로 인해서 시간이 부족해서 다 못푸는 일을 방지한다고 생각합니다.
4. 과탐 생1, 지1을 봤는데 이번 수능에서 가장 잘본 과목이라서 덕분에 대학을 갔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좋은 결과가 나온 원인은 수능직전에 몰입도 있는 실전연습이라고 생각합니다. 30분안에 20문제를 풀어야하는 과목의 특성상 실전연습이 부족하면 시간때문에 다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또한 다른 과목에 비해 짧은 시간때문에 문제가 안풀릴때에 대한 훈련을 안했다면 그 한문제때문에 시험 전체를 그르칠 수 있는 과목입니다. 따라서 늦어도 9월 전까지는 개념과 기출 학습을 완벽하게 끝내고 9월 이후에는 실전연습 위주로 공부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
|
|
|
|
|
|
|